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백꽃 필 무렵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드라마 제목의 유래가 된 첫번째 소설에 대한 내용은 메밀꽃 필 무렵 문서
메밀꽃 필 무렵번 문단을
메밀꽃 필 무렵# 부분을
, 두번째 소설 에 대한 내용은 동백꽃(소설) 문서
동백꽃(소설)번 문단을
#s-번 문단을
동백꽃(소설)#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bgcolor=#FFFFFF,#6E6D6D><tablecolor=#1d1d1d><bgcolor=#FFFFFF,#1F2023><-4><:> 2016~2020 ||
||<width=25%><:> 파일:태양의 후예 로고(B).png
(2016) ||<width=25%><:> 파일:마스터 국수의 신 로고.png
(2016) ||<width=25%><:> 파일:함부로 애틋하게 로고.png
(2016) ||<width=25%><:> 파일:공항 가는 길 로고.png
(2016) ||
||<:> 파일:오 마이 금비 로고.png
(2016~2017) ||<:> 파일:맨몸의 소방관 로고.png
(2017) ||<:> 파일:김과장 로고.png
(2017) ||<:> 파일:추리의 여왕 로고.png
(2017) ||
||<:> 파일:7일의 왕비 로고.png
(2017) ||<:> 파일:맨홀 로고.png
(2017) ||<:> 파일:매드독 로고.png
(2017) ||<:> 파일:흑기사 로고(진청).png
(2017~2018) ||
||<:> 파일:추리의 여왕 시즌2 로고.png
(2018) ||<:> 파일:슈츠 KBS 로고.png
(2018) ||<:> 파일:당신의 하우스헬퍼 로고.png
(2018) ||<:> 파일:오늘의 탐정 로고.png
(2018) ||
||<:> 파일:죽어도 좋아 로고.png
(2018) ||<:> 파일:왜그래 풍상씨 로고.png
(2019) ||<:> 파일:닥터 프리즈너 로고.png
(2019) ||<:> 파일:단 하나의 사랑 로고.png
(2019) ||
||<:> 파일:저스티스 KBS 로고.png
(2019) ||<:> 파일:생일편지 로고.png
(2019) ||<:> 파일:동백꽃 필 무렵 로고.png
(2019) ||<:> 파일:99억의 여자 로고.png
(2019~2020) ||
||<:> 파일:포레스트 KBS 로고.png
(2020) ||<:> 파일:어서와 로고.png
(2020) ||<:>파일:영혼수선공 로고.png
(2020) ||<:> 파일:출사표 KBS 로고.png
(2020) ||
||<:> 파일:도도솔솔라라솔 로고.png
(2020) ||<:> 파일:바람피면 죽는다 로고.png
(2020~2021) || || ||
||<-4> ||



동백꽃 필 무렵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한국방송대상 심볼.svg 한국방송대상
드라마 부문 작품상
열혈사제
(2019년)
동백꽃 필 무렵
(2020년)
달이 뜨는 강
(2021년)

한국PD대상
TV 드라마 부문 작품상
내 뒤에 테리우스
(2019년)
동백꽃 필 무렵
(2020년)
스토브리그
(2021년)

KBS 2TV 수목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
(2019)
When the Camellia Blooms
파일:동백꽃 필 무렵_커플 포스터.jpg
장르드라마
방송 시간, 오후 10:00 ~ 11:10[1]
방송 기간2019년 9월 18일 ~ 2019년 11월 21일
방송 횟수40부작[2] + 스페셜 2부작[3]
채널파일:KBS 2TV 로고.svg
방송사파일:KBS drama 로고.svg | 파일:KBS Story 로고.svg | 파일:KBS 월드 로고.svg | 파일:ENA 로고.svg[4]
제작사팬엔터테인먼트
제작김희열
연출차영훈, 강민경[5]
극본임상춘
촬영박성, 이윤정, 안덕철, 김필승
미술전여경
음악개미
출연
스트리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avve | 왓챠 | 넷플릭스

파일:세계 지도.svg: 넷플릭스[6]
시청 등급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언어)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다음 아이콘.svg

1. 개요
2. 공개 정보
2.1. 예고편
2.2. 포스터
3. 기획의도
6. 음악
7. 방영 목록 및 시청률
8. 평가
9. 논란
10. 수상
11. 기타
12.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19년 9월 18일부터 11월 21일까지 방영한 KBS 수목 드라마.


2. 공개 정보[편집]



2.1. 예고편[편집]


0차 티저0차 티저(full.ver)
1차 티저2차 티저


2.2. 포스터[편집]


파일:동백꽃 필무렵_포스터(동백 ver.).jpg
파일:동백꽃 필 무렵_커플 포스터.jpg
파일:동백꽃 필 무렵_3인 포스터.jpg
캐릭터 포스터 - 동백커플 포스터3인 포스터
파일:동백꽃 필 무렵_단체 포스터.jpg
단체 포스터


3. 기획의도[편집]


파일:동백꽃 필 무렵 소개 이미지.jpg

편견에 갇힌 여자가
저를 가둔 가타부타를 깨다 못해 박살을 내는 이야기.
그리고 그 혁명에 불을 지핀 기적 같은 한 남자의 얘기.
분명 뜨끈한 사랑 얘긴데, 맨날 사랑만 하진 않는 얘기.
‘진짜 사람들’의 ‘진짜 이야기’가 시작된다.
.
.
.
“쟨 좀 박복하잖아.”
여기 편견에 갇힌 한 여자가 있다.
아무도 그녀의 행복을 예상치 못한다.
우리 속 무심하고도 사소한 시선들이 그녀를 쉽게 재단하지만,
우리 속 무심하고도 사소한 배려들이 그녀의 세상을 바꿀 수도 있다.
편견에 갇힌 한 사람이 조금씩 틀을 깨고 나와 포효하기까지.
그 사소하지만 위대한 기적을 만들어 낸 건
평범한 듯 안 평범한 난 놈, 용식이었다.
한 사람에게 냅다 퍼붓는 우레 같은 응원!
‘당신 잘났다, 최고다, 훌륭하다, 장하다!’
이 우직한 응원이 그녀의 세상을 어떻게 바꿔놓는지,
사람이 사람에게 어떤 기적이 될 수 있는지...!
여기 순박섹시란 새 장르를 발칵 열 (놈옴)므파탈 황용식이와
성장, 아니 각성하는 맹수 (근걸)크러쉬 동백이가 보여줄 것이다.


4. 등장인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동백꽃 필 무렵/등장인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명대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동백꽃 필 무렵/명대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음악[편집]


파트표지발매일곡명아티스트링크
Part 1파일:동백꽃 필 무렵 OST Part 1.jpg2019.10.03이상한 사람존박M/V
Part 2파일:동백꽃 필 무렵 OST Part 2.jpg2019.10.09Loser오왠듣기
Part 3파일:동백꽃 필 무렵 OST Part 3.jpg2019.10.10너는 내게 비타민 같아모트 (Motte) & 용주 (YONGZOO)듣기
Part 4파일:동백꽃 필 무렵 OST Part 4.jpg2019.10.16꽃처럼 예쁜 그대임한별M/V
Part 5파일:동백꽃 필 무렵 OST Part 5.jpg2019.10.23괜찮나요소유 (SOYOU)듣기
Part 6파일:동백꽃 필 무렵 OST Part 6.jpg2019.10.31영화 속에 나오는 주인공처럼펀치 (Punch)M/V
Part 7파일:동백꽃 필 무렵 OST Part 7.jpg2019.11.06그 무렵김나영듣기
Part 8파일:동백꽃 필 무렵 OST Part 8.jpg2019.11.07겨울이 오면김필듣기
Part 9파일:동백꽃 필 무렵 OST Part 9.jpg2019.11.13운명이 내게 말해요헤이즈듣기
Part 10파일:동백꽃 필 무렵 OST Part 10.jpg2019.11.14I'll Be With You가은(GA EUN)듣기
Part 11파일:동백꽃 필 무렵 OST Part 11.jpg2019.11.20내 맘 (Mom)김연지듣기


7. 방영 목록 및 시청률 [편집]


  • 닐슨 전국 시청률 기준이다.
  • 파란색 수치는 최저 시청률, 빨간색 수치는 최고 시청률을 의미.
EP회차방영일부제시청률통합시청률[7]
11회2019.09.18.게르마늄 팔찌를 찬 여자6.3%6.9%
2회7.4%
23회2019.09.19.좋은 놈, 나쁜 놈, 치사한 놈6.7%7.5%
4회8.3%
35회2019.09.25.똥개의 전략8.6%9.3%
6회10.0%
47회2019.09.26.2019년 가장 격렬한 화제작 '촌놈'7.7%8.9%
8회10.0%
59회2019.10.02.바람, 바람, 파란9.3%10.4%
10회11.5%
611회2019.10.03.1986.08.29. 본투비 하마10.2%11.6%
12회12.9%
713회2019.10.09.옹산 요정11.0%12.1%
14회13.1%
815회2019.10.10.이 구역의 스라소니11.0%12.8%
16회14.5%
917회2019.10.16.웰컴이다11.0%12.2%
18회13.4%
1019회2019.10.17.착한 놈은 계를 못 타12.1%13.5%
20회14.9%
1121회2019.10.23.히어로는 막판이다12.9%14.9%
22회16.9%
1223회2019.10.24.나를 잊지 말아요13.3%14.8%
24회16.2%
1325회2019.10.30.그 썸의 끝14.3%15.6%
26회16.9%
1427회2019.10.31.엄마의 나이테 "엄마는 그렇게 나이를 먹었다"15.0%16.7%
28회18.4%
1529회2019.11.06.엄마. 妈妈. mother.15.2%16.7%
30회18.2%
1631회2019.11.07.공수 교대 (feat.악셀을 밟는 자)15.7%17.3%
32회18.8%
1733회2019.11.13.옹벤져스17.9%19.3%
34회20.7%
1835회2019.11.14.여덟 살 인생14.0%16.1%
36회18.1%
1937회2019.11.20.7년 3개월짜리 엄마18.1%19.3%
38회20.4%
2039회2019.11.21.기적 같은 소리19.7%21.8%
40회23.8%

  • 전작이 히트한 임상춘 작가의 신작, 드라마 무패신화 공효진의 복귀작, 강하늘의 제대 후 첫 작품 등등 여러 요인으로 기대감이 높았는데, 어김 없이 첫 방송부터 수목 드라마 중 시청률 1위를 차지하며 출발했다. 방영 2주차만에 10%대를 넘기는 등 시청률 자체도 2019년도 드라마 중에서는 상당히 높은 편이며 꾸준히 상승세를 타고 있다. 지난 13일 방송분을 기점으로 넘기 어렵다는 20%대 고지를 넘어섰다. 유튜브와 넷플릭스를 비롯한 다양한 ott 플랫폼과 다수의 케이블, 종편채널이 시장을 잠식한 현 방송시장에서 지상파 드라마의 시청률로는 굉장히 높은 시청률이다. 지상파만 있던 90년대와 비교하자면 40~50% 이상으로 봐도 무관하다. 더구나 로맨틱코메디라는 장르의 특성상 시청자가 한정적이라는 걸 감안하면 초대박이 났다고 볼 수 있다.[8]

  • 마지막회에서 23.8%까지 올라서며 자체 최고 시청률을 경신함과 동시에 왜그래 풍상씨가 가지고 있던 종전 2019년 주중 지상파 드라마 최고 시청률(22.7%)을 경신하고 최종 평균 13.9%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최종적으로 닥터 프리즈너 이후로 부진했던 KBS 드라마를 살린 일등공신이자 작품성과 시청률 두마리 토끼를 전부 잡아내며 2019년 하반기에 가장 성공한 흥행작이라는 쾌거를 달성했다.[9]


8. 평가[편집]


  • 단순 로맨스물이 아니라 주인공이 불행을 몸에 두르고 사는 박복함[10] 그리고 이를 차별하는 주위 사람들.[11] 그리고 연쇄 살인의 유일한 생존자.[12] 그럼에도 아무런 차별없이 이를 받아들이는 남주[13] 등 독특한 컨셉이 많다. 그리고 극중 연쇄살인마인 까불이에 대한 꾸준한 떡밥 투척으로 긴장감도 유지되고 있다.

  • 공효진과 강하늘을 비롯한 주연진들의 연기도 대체로 출중하다고 평가받고 있으며 오동백의 어머니인 조정숙 역을 맡은 이정은의 경우 오동백 역의 배우 공효진과 나이차이가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훌륭하게 어머니 연기를 소화해내며 극찬을 받았다.[14] 손담비 역시 배우로서는 상당히 미묘한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가 이 드라마에 출연하면서 배우로서도 존재감을 알리는데 성공했다.

  • 작가의 과거 작품인 백희가 돌아왔다와 유사한 점이 많은데, 작품을 아는 이들 사이에서는 해당 작품의 연장선이 아니냐는 의견도 나올 정도. 둘 다 배경이 충청도 어촌에다가 로맨틱 코미디 임에도 추리물 성격이 강하다는 점 등등.


9. 논란[편집]


  • 10월 14일 희망연대노조 방송스태프지부 측은 성명서를 내고 '동백꽃 필 무렵'의 열악한 촬영 현장을 고발했다. 노동조합 측은 "현재 '동백꽃 필 무렵' 촬영현장에서 살인적인 장시간 노동과 표준근로계약서가 아닌 업무위탁계약을 스태프들에게 강요하면서 미계약 상태로 촬영을 진행 중이다. 제작 현장 스태프들의 미계약 상태 해결 및 노동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지난 10월1일 팬엔터테인먼트와 교섭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 노동조합이 제작사에 요구한 것은 1일 14시간(휴게시간 2시간 미포함), KBS 별관 출발 KBS 별관 해산, KBS 별관에서 지방(보령, 포항)으로 촬영 출발할 경우 이동시간 모두 노동시간에 포함시키는 것, 지방(보령, 포항)에서 KBS 별관으로 복귀 시 이동시간 보령은 2시간 포항은 4시간을 노동시간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 노동조합 측은 제작사가 촬영 스케줄을 이유로 현행 노동 조건보다 후퇴된 1일 16시간(휴게시간 2시간 제외) 촬영, 보령, 포항의 비수도권지역에 대한 이동시간을 노동시간에서 제외, 촬영현장의 노동자들 건강권과 생명권을 침해하는 안을 제시했다고 지적했다.

  • 이에 노동조합 측은 "교섭 이후 10월 4일 촬영에서는 KBS 별관에서 오전 6시 30분 출발, 별관에 익일 3시 30분 도착, 총 21시간의 살인적인 고강도 촬영을 했으며, 다음 날인 10월5일 오전 11시 출발하기 위해 숙소, 사우나를 스태프에게 제공했다. 제작사에서는 드라마 제작현장에서 사라진 20시간 촬영 및 사우나 숙박 적폐를 되살렸다. '동백꽃 필 무렵' 제작현장의 스태프들 노동인권을 침해하고 건강권과 생명권을 위협하는 장시간 20시간 촬영관행 및 수면권 보장 없는 사우나를 제공했다"며 제작사를 강력 규탄했다.

  • 2019년 8월 속초 공사장 승강기가 추락해 3명이 사망한 사고 뉴스 영상을 피해자 가족의 허락 없이 드라마 내 극중 살인범의 아버지 사고 영상으로 3번이나 내보낸게 포착되었다. # 그리고 2015년 마산역 사거리 교통사고도 자료로 쓰였는데 피해 당사자가 시청자 청원글을 올렸다. 정리글 11월 28일 오후 차영훈 PD가 간담회에서 "평범하고 작은 영웅들의 선의들이 모여서 사회의 기적을 만드는 드라마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었다. 그런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도움이 될 영상이라고 생각해서 썼다. 그런데 사고 당사자 분들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 한 점은 죄송하고 유감이다. 당사자 분과 개인적으로 메일을 보내고 접촉해 사과를 드린 상태다. 방송에 보낸 부분은 또 다른 피해가 없도록 수정하는 방향으로 고민하고 있는 중이다. 다시 한번 피해자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 한 점은 정말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사과했다. # 그러나 승강기 사고 영상에 대한 언급은 없다.


10. 수상[편집]


연도시상식명수상 부문수상자
2019년KBS 연기대상대상공효진
남자 최우수상강하늘
중편드라마부문 남자 우수상김지석
중편드라마부문 여자 우수상이정은
베스트커플상강하늘 & 공효진
오정세 & 염혜란
네티즌상강하늘
작가상임상춘
중편드라마부문 조연상오정세
염혜란
여자 신인상손담비
청소년 연기상김강훈
제8회 대한민국 베스트 스타상베스트 드라마 스타상손담비
2020년제32회 한국PD대상작품상 - TV 드라마동백꽃 필 무렵
제56회 백상예술대상TV부문 대상
TV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강하늘
TV부문 남자 조연상오정세
TV 부문 극본상임상춘
제47회 한국방송대상작품상 - 드라마동백꽃 필 무렵
연기자상강하늘
작가상임상춘
제15회 서울 드라마 어워즈여자 연기자상공효진
작가상임상춘
한류 드라마 남자 연기상강하늘
한류 드라마 OST상펀치 <영화 속에 나오는 주인공처럼>
한류 드라마 최우수상동백꽃 필 무렵
아시아 콘텐츠 어워즈베스트 아시아 드라마
2021년제7회 APAN 스타 어워즈연출상차영훈
미니시리즈 남자 최우수연기상강하늘

2019년 KBS 연기대상에서 12관왕이라는 진기록을 세웠다.

제56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TV부문 대상을 차지했으며, 제32회 한국PD대상과 제47회 한국방송대상, 그리고 제15회 서울 드라마 어워즈에서 또한 드라마 부문 작품상을 수상했다.


11. 기타[편집]


  • 강하늘의 군 제대 후 복귀작이며, KBS 출연은 최강 울 엄마 이후 12년만이다.
  • 공효진프로듀사 이후 4년 만의 KBS 드라마 출연이며, 그리고 질투의 화신 이후 3년만에 드라마 복귀작이다.
  • 공효진의 경우 방영 기간 도중 김래원과 함께 주연을 맡은 작품인 가장 보통의 연애가 개봉하는데, tvN 측의 경쟁작 청일전자 미쓰리의 주연 혜리 역시 비슷한 시기에 주연작 판소리 복서가 개봉하기에 영화에서도 경쟁을 하게 되었다.
  • 김지석발칙하게 고고 이후 4년 만의 KBS 드라마 복귀작이다.
  • 손담비가족끼리 왜 이래 이후 4년 7개월 만에 KBS 드라마에 출연한다.
  • 이상이특별근로감독관 조장풍 이후 4개월 만에 드라마에 출연하며, KBS2 출연은 To. Jenny 이후 1년 2개월 만이다.
  • 경찰서 씬은 충남 보령경찰서에서 촬영.
  • 옹산 식당 골목은 경북 포항구룡포 근대문화 역사거리에서 촬영했다. 링크
  • 학교씬은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의 근흥중학교에서 촬영했다.
  • 동백이가 강종렬 코를 때리는 장면은 청주 한솔초등학교 정문에서 촬영했다.
  • 옹산역은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역에서 촬영했고 9화 과거씬에 나왔던 덕수역은 경기도 안양시 석수역에서 촬영했다
  • 작가의 전작들에 출연한 배우들이 보인다. 전배수이정은쌈, 마이웨이에서 여주인공들의 부모로 출연한 바 있으며, 특별출연인 인교진최대철백희가 돌아왔다에서 주조연으로 활약한 바 있다.[15] 그리고 백현주쌈, 마이웨이에서 모텔 주인으로 출연한 적 있다.
  • 자존감에 관한 드라마이다. 작중 인물들의 대부분이 '무시'당하는 상황에 굉장히 예민하다.
  • 초반의 동백과 용식의 러브스토리를 지나 중반 이후의 드라마의 테마로 '어머니'를 많이 부각시키고 있으며 37, 38화에서 그 주제가 강하게 나타났다. 동백이와 그 주변의 어머니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중심인물의 대부분이 어머니가 있고 자주 출연한다.
  • 극 중 제시카는 전라북도 전주 출신으로 감정이 격해지면 자기도 모르게 사투리를 쓴다는 설정이 있는데, 정작 제시카가 쓰는 사투리는 전라남도 사투리다. 기본적으로 전주가 속한 전북의 사투리는 전남 사투리와 크게 다르며, 요즘은 젊은 전남 사람들도 사투리를 저 정도로 쓰진 않는다. 미디어 제작자들이 갖고 있는 전라도 사람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을 보여주는 설정 오류.
  • 극중 용식이가 동백이네 집 비밀번호를 2580에서 6자리수로 바꾸는데 이 숫자는 190918. 동백꽃 필 무렵의 첫방송 날짜이다.
  • 노규태 역의 오정세는 경기도 용인시 동백동에 살고 있으며, 방송 당시 동백이마트에 들릴 때마다 "동백꽃 나오는 노규태가 동백이마트 왔다"는 목격담이나 사진이 많이 올라왔다.


12.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4:03:12에 나무위키 동백꽃 필 무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회당 35분으로 2회 연속 편성[2] 70분 기준으로 20부작.[3] 종영 후인 27, 28일에 스페셜 방송이 방영되었다.[4] 2023년에 방영하고 있다.[5] 러블리 호러블리 등을 연출.[6]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영어권 지역은 첫 방영일부터 매회 정규 방송 종료 후 공개되며, 일본은 11월 15일 자정(PST)에 전회차 동시 공개된다. 전 세계 나머지 국가들은 9월 28일 부터 매주 토요일 두 회차씩 공개.[7] 1,2부 시청률의 평균[8] KBS 수목극이 시청률 20%를 돌파한 것은 왜그래 풍상씨 이후 8개월 만이다.[9] 2018년부터 지상파 드라마의 시청률이 더더욱 암울해지기 시작했고 방영 당시 과장 좀 보태서 모든 채널의 드라마들이 부진하고 있다고 봐도 좋은 상황이였던지라 이 드라마의 흥행은 상당히 이례적인 결과였다.[10] 고아, 악담(병균덩이라는 소리를 들음), 미혼모, 연쇄살인의 생존자.[11] 고아에 미혼모라 박복하다고 했을 뿐 아니라 살아남았음에도 위로는커녕 박복해서 그렇다고 악담을 한다.[12] 범인의 얼굴을 못보고 유일하게 기억하는 것은 규칙적이고 참을 수 없어서 내뱉는 기침소리이다.[13] 보기 드물게 차도남이 아니라, 열혈남아.[14] 이정은은 70년생, 공효진은 80년생, 강하늘은 90년생. 사실 공효진이 말도 안 되는 동안이라 가능한 나이 배치다.[15] 특히 인교진은 전작인 쌈, 마이웨이에서도 특별출연했고, 백희가 돌아왔다에 이어 두식이란 이름의 배역을 맡았다.